기획,심층
  심층.촛점
기획
현장
르포
이슈
 
 
 
Home > 기획,심층 > 현장
<기획특집> 양주시, 대한민국 헌법의 아버지 조소앙 선생의 발자취를 잇다
 
[현장] twitter  facebook    ȮƮ
입력시간:  2019-08-19 05:34:40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의 8월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년 광복절 경축식 경축사에서 일찍이 임시정부의 조소앙 선생은 사람과 사람,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사이의 균등을 주창했다라며 평화와 번영을 향한 우리의 기본정신이다라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대륙과 해양을 잇는 나라’,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질서를 선도하는 나라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뚜렷한 목표를 가져야 함을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를 인용해 역설한 대목이기도 하다.

이에, 양주시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조소앙(素昻 趙鏞殷, 1887~1958) 선생의 생애를 과거 100년의 발자취를 거슬로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 위치한 조소앙 기념관을 통해 재조명해 본다.

조소앙 선생의 생애를 재조명하다 ? 양주시 남면 황방리 조소앙 기념관

조소앙 선생이 1887년 함안 조씨 가문의 아버지 조정규와 어머니 박필양의 61녀 중 2남으로 태어나 양주(현 양주시)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그가 유년시절을 보냈던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는 선생의 업적을 기리는 조소앙 기념관이 들어서있다.

2016년 개관한 조소앙 기념관은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지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조소앙선생의 생애를 재조명하며 선생의 고귀한 독립운동정신을 기리고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 후손들에게 애국정신의 함양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됐다.

기념관은 조국의 자주독립과 민주발전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 조소앙 선생의 독립운동, 임시정부 외무부장 활동, 광복 후 통일운동에 이르기까지의 생애와 업적을 전시함은 물론,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 완전한 균등을 주창한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사상을 다양한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해 전하고 있다.

기념관은 388규모의 한옥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1에 달하는 기념공원과 2015년 복원한 조소앙 선생 본가, 잔디광장, 생태연못, 추모공간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또한, 인근에는 수령 850여년의 천연기념물 278양주황방리느티나무와 황뱅이 수변산책로, 봉암저수시, 원당저수지, 초록지기 숲속체험장을 비롯해 경기5악중 하나인 감악산의 수려한 풍광이 펼쳐져 있다.

양주시는 지역의 대표 독립운동가인 조소앙 선생의 고귀한 독립운동정신을 재조명하기 위해 오는 10월까지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조소앙 선생 기념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조소앙의 길을 찾아서프로그램을 운영중에 있다.

프로그램은 조소앙 선생 우드아트 체험’, ‘태극기 석고방향제 만들기 체험’, ‘임시정부 태극기 목판 체험’, ‘무궁화 석고방향제 만들기 체험등 조소앙 선생, 독립운동과 관련해 별도 접수 없이도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

국호 '대한민국', 100년전 411일 임시정부는 그해를 대한민국의 원년으로 선언하며 전제국가가 아닌 주권재민의 나라임을 온 세상에 알렸다.

19194월에 중국 상해에 모인 독립운동가들은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반포하며 헌장의 제1조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이라고 밝히고 있으며 이러한 공화의 정신은 임시정부 헌법들과 해방 후 제헌헌법, 1987년 개정된 지금의 헌법 11항의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로 이어졌다.

대한민국의 국명과 민주공화국의 정신을 제안한 이가 바로 양주시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인 조소앙 선생이라고 알려져있다.

그가 창시한 삼균주의는 정치의 균권, 경제의 균산, 교육의 균학을 의미하며 정치.경제.교육의 평등을 기반으로 개인.민족.국가의 평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가 꿈꾸던 이상세계이자 오늘날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삼균주의의 창시자, 소앙 조용은(素昻 趙鏞殷, 1887~1958)

우리 대한은 완전한 자주독립국임과 민주의 자립국임을 선포하고, 우리 대한은 타민족의 대한이 아닌 우리 민족의 대한이며, 우리 한토(韓土)는 완전한 한인의 한토이니, 이천만 동포는 국민된 본령이 독립인 것을 명심하여 육탄혈전함으로써 독립을 완성할지어다

지난 4MBC 다큐 프로그램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특집 기억록에서 배우 최원영은 조소앙이 작성한 대한독립선언서를 낭독하며 그를 기억하고 기록했다.

김삼웅 전 <대한매일>(<서울신문>) 주필은 2017<조소앙 평전>에서 "'사람과 사람,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의 균등한 생활'을 추구하는 조소앙의 '삼균주의'1931년 이후 임정의 공식 노선으로 확립되었으며, 대한민국 제헌헌법에 스며들었고 공화국의 기본정신이 되었다"라고 평가했다.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균등'을 위해서는 '정치.경제.교육의 균등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보통선거제와 주요사업의 국유화, 국비 의무교육제가 필요하며 '민족과 민족의 균등'을 위해서는 소수민족과 약속민족이 압박에서 벗어나야 하고, '국가 간의 균등'을 위해서는 제국주의가 타도되고, 전쟁이 금지되어야 한다라고 전하고 있다.

항일과 독립운동으로 채워진 삶의 여정, 조소앙

그의 본명은 용은(鏞殷), 자는 경중(敬仲), 아호는 소앙(素昻)이었으며 6세부터 통정대부인 조부 조성룡에게 한학을 배우기 시작해 15세인 1902년 최연소로 성균관에 입학해 선배인 신채호와 함께 항일성토문을 작성하는 등 확고한 애국심을 가지고 있었다.

성균관 졸업 후 황실 특파유학생으로 선발돼 1904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부립제일중학교[東京府立第一中學校]에 입학해 191226세의 나이로 학업을 마친 그는 1913년 북경을 거쳐 상해로 망명해 독립운동에 뛰어 들었다.

19177월 상해에서 독립운동가 14명과 함께 주권재민론과 대동사상에 기초한 선구적 독립선언이었던 대동단결선언을 공표하며 공화제에 입각한 헌법의 초안의 기반을 닦았으며, 191921일 우리나라 최초의 독립선언서인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를 자주독립의 민주국가 건설을 대전제로 기초하며 삼균주의의 원형을 담았다.

이후 19194월 상해 임정 수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임정출범의 법적 뒷받침이 된 임시헌장임시의정원법의 기초위원으로 민주공화제 임정수립의 기초를, 19301월 김구.이시영 등 임정 요인을 포함한 28명과 함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하며 정치균등, 경제균등, 교육균등의 삼균주의를 창시하고 당의 및 당강을 기초한다.

이후, 1934년 삼균주의를 국시(國是)로 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을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 회의에서 채택했다.

19409월 민족진영의 모든 항일독립군 요인들이 총결집해. 한국광복군을 창립하고 독립운동의 최후를 맞이할 준비를 갖췄으며 그해 10월 조소앙 선생은 임정의 제4차 개헌을 통해 수립된 김구주석체제하에서 외무부장으로 선출됐다.

1941년 임시정부는 사람과 사람,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의 균등한 생활을 주의로 하는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공표하며 삼균주의를 임시정부의 기본이념 및 정책노선으로 확정했다.

해방 후 납북... 영원에 잠들다.

조소앙 선생은 1946비상국민회의(非常國民會議)’ 의장으로 선출, 자주적인 국가건설운동을 추했다.

1948510일 총선거에 의해 국회가 구성, 제헌 헌법에 의거 815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됐다.

조소앙 선생은 5.10선거에는 불참했으나 1950530일 치러진 2대 총선에선 서울 성북구에서 출마해 우익의 거물 조병옥을 상대로 전국 최다 득표인 34000표를 얻어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돼 국회에 입성하게 된다.

그러나 선거 25일 후 터진 6.25 전쟁으로 납북, 전시하에서 가혹한 생활을 견뎌야 했으며 김일성의 요구를 거부하고 납북인사들과 함께 독자적인 중립화통일운동을 전개했다고 한다.

이후 독창적이고 주체적인 삼균주의’, 근대국민국가를 수립하고자 힘썼던 독립운동가 조소앙 선생은 1958910일 향년 72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현재 평양시 신미리에 위치한 애국열사릉에 고이 잠들어 있다.

현재 선생의 가묘가 남면 황방리 선영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조소앙 선생이 남긴 삼균주의 역시 전쟁 후 이념 대결 와중에 잊혀졌지만 그 기본정신은 대한민국 제헌헌법에 스며들어 민주공화국의 기본정신으로, 지금의 헌법으로 이어졌으나 한동안 '월북 인사'로 분류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다가 1989년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2003년에는 독립기념관 경내에 삼균주의와 약전(略傳)을 새긴 어록비가 세워졌다.

2016년 개관한 조소앙기념관에는 지금도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고 추모하는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019-08-19 05:34:40 수정 이충환 기자 ( uifocus@hanmail.net )
 
 
등록번호 경기., 아51960 주소 경기 의정부시 시민로 29(의정부동) 발행.편집인 이미숙 청소년보호책임자 이미숙
등록연월일 2018년 9월 13일   전화 : 031-825- 8816 팩스 : 031-825-8817 관리자메일 : uifocus@hanmail.net
copylight(c) 2012 경기북부포커스 All rights reserved.